본문 바로가기

제 1장 : La vie

남녀 평등은 기회의 평등인가? 좌석 수의 평등인가? 남녀 평등에 대해 이야기를 하다보면 여자애들은 보통 남자가 할 수 있는 일들 모두 여자도 할 수 있지만 남성으로 이루어진 사회가 여성의 참여를 막고 있기 때문에 사회 진출이 어렵다고 말한다. 내가 보는 세상은 그 어느 세대보다 여성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오히려 할당제를 통해 참여의 보장까지 시켜놓은 상태다. 그리고 이어서 남녀 임금차이에 대해 토로를 한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약 60~70% 정도의 임금을 받고있다고. 난 거기에 직업 분야, 직급에 따라 임금이 다르고 성별 분포가 다른데 그걸 뭉떵그려놓고 평균을 내면 당연히 그렇게 나오지 않냐고 한다. 그리고 최소한 아르바이트라도 하지 않았냐고. 남자와 여자, 시급을 다르게 적용해서 받았냐고 물어보면 그런적 없단다. 하지만 임금 차별은 있단다. 왜..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_캐릭터 김상범은 대체 뭔가? - 두번째 15화 오프닝부터 오랜만에 김상범이 나왔다. 역시나. 이건 친한 오빠가 아니다. 걱정을 하는 사람이 아니라 그냥 시비를 거는거 밖에 안보였다. 와.. 이건 뭐지 싶었다. 아니 남의 집에서 밥 먹으면서 뭘 그렇게 사람을 질책하는지 모르겠다. 그리고 이어서 그라나다에 사는 친구에게 전화오는 장면으로 넘어가는데 "왠일이냐? 진짜 오랜만이다." 라는 대사에서 '아니 평소에 연락할 일이 1도 없는 니가 무슨일로 나한테 연락을 하냐?' 라는 것처럼 느껴지는 마법의 어투를 보였다. 다행히 그 친구도 "희주 전화번호를 모르니 너한테 했지." 라는 식의 답변으로 희주 전화번호를 알았다면 너에게 연락하겠냐? 라는 식의 그 상범의 인성에 적절히 대응하는 면을 보였다. 세주가 그라나다에 나타났다. 하지만 희주에게 연락할 방법..
요즘 진짜 너무한 것 같다. 요즘 진짜 너무한 것 같다. 그놈의 PC(Political Correctness) : 정치적 올바름, 인종, 성, 성적지향, 성별정체성, 장애, 종교, 직업, 나이 등을 기반으로 언어와 행동에 차별을 가하지 않는 태도, 매스 미디어 곳곳에 PC요소를 넣지못해 안달난 것 같다. 심지어 게임에서조차 PC를 강조 아니 강요하고 있다. 최근 오버워치에서 솔저76이 동성애자, 즉 게이라는 설정을 공개했다. 대체.. 그게 왜 중요한가? 시발. 트레이서는 레즈비언이다. 도대체 오버워치 게임에 그런 설정이 극 흐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길래 그렇게 강조하지 못해 난리인지 모르겠다. 오버워치 영웅이 게이이든 레즈비언이든 트렌스젠더이든 그게 대체 뭔 상관이길래. 게임의 극중 흐름은 날려버리고 이 캐릭터는 성소수자야!! 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