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것이 알고 싶다. 한샘 성폭행 사건을 보기전에
예전에 한창 이슈가 되었을 때 한 후배가 그랬다. 어떻게 생각하냐고.
지금 당장 판단하고 누구를 비난하고 싶지 않다고 했다.
그동안 인터넷에서 논란이 있었던 사건들을 생각하며 처음 이슈화되었던 것 과는 반대로 벌어지는 일이 허다했기 때문에
일방적인 한 쪽의 이야기만 듣고 판단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다.
흔히들 말하는 숲속친구들이 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슈화 되고 듣고 싶은 이야기만 들으며 상대를 비난하고 진실이 밝혀졌을 땐 무슨일이 있었냐는 듯 자취를 감추는 숲속친구들.
사건 자체만 봤을 때 남성이 가해자라면 성폭행 범죄에 대해 처벌을 받으면 될 것이고.
한샘이 이를 무마하려고 조치를 취했다면 이에 대해 소비자는 불매 및 시장에서 퇴출 시키는 등의 행동을 하면 될것이다.
만약 여성이 가해자라면 무고죄로 고소를 하면 되는 일이었다.
한동안 별 신경쓰지 않고 있었는데.
이번 SBS 그것이 알고 싶다. 에서 해당 사건에 대해 방송을 내보냈다.
해당 방송을 보니.
이것들은 참 인간 말종들이었다.
화장실로 따라가서 사진찍은 동기놈, 모텔에서 성폭행을 한 교육팀 상사놈, 인사상담이라는 명목으로 추행을 한 인사팀 상사놈.
이를 명명백백하게 하지않고 유야무야 무마시킬려고 하는 한샘의 태도.
총체적 난국이었다.
중간에 남자측에서 내놓은 성관계 후 문자를 주고 받았다는 내용과 이후 불기소 처리에 따라
남자쪽에 대한 의견에 힘이 실리는 듯 했다.
하지만 이는 그릇된 생각이었다. 실제 그렇지 않을 수 있다는 말이다.
보통 성폭행 가해자와 피해자는 적대적인 관계로 변하게 된다고 생각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는 다르게 행동할 수도 있다는 점도 알아야 한다.
심각한 성폭력 범죄일 수록 친밀한 관계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또한 가장 중요한 것은 행위 및 행동에 대해 거부가 아닌 동의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
하고 싶어 라고 하지 않는 부분은 전부 비 동의라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나 역시도 하고 싶지 않은 일에 대부분 표현을 아니 괜찮아. 글쎄. 그런가. 아. 그렇구나. 등 비동의로 표현한다.
싫다고 하지 않았기 때문에 긍정이라 생각하냐? 아니 그건 아니다.
하고 싶으면 그래. 알았어. 좋지 등으로 표현했겠지.
대체 무엇이 동의이고 거부인지 구분이 힘들다 싶으면 아래의 영상을 참고하면되겠다.
아이들이 봐도 이해할 만큼 아주 쉽게 설명을 하고 있다.
몇 분 되지도 않으니 충분히 시간을 내서 불만하다.
그래 알겠다. 라고 이야기는 끝이났다.
세상에는 내 상식에서 많이 벗어나는 사람도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너랑 나만 알고있으면 모를 것이니 걱정마라 ?
너와 내가 알고 있기 때문에 그럴 수 없다.
정치인 연예인 더럽다 욕하지 말고. 내 옆사람부터 챙기자.
'제 1장 : La vie > Le quotidie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냥 던진다고 돌직구가 좋은건 아니지. (0) | 2017.12.11 |
---|---|
인간판독 (0) | 2017.12.10 |
마음의 여유가 생겼구나. (0) | 2017.12.10 |